바둑대회 규칙(스위스룰)
오늘 아들이 시장배 바둑대회에 나가서 학년부 3위를 했어요.
처음 대회를 같이 따라가 봤는데, 어떻게 1위와 2위가 정해지는지 궁금해서 찾아보게 됬어요.
8명이서 첫 테이블에 앉아서 서로 대결을 하는데, 어른처럼 신중하게 바둑알을 하나하나 두는 모습이 의젓해 보니기도 하고
기특하기도 했습니다.
4명에서 1위,2위를 정하고 각 조의 1위와 2위를 한번더 모아서 최종 결승전을 진행해요.
이번 대회에는 한 학년에 36명 정도가 참석했어요. 경기도(시흥,광명,의왕,안양,안산)에서 다양한 학교의 학생들이 참석했고,
수상까지 했다는게 대단해요.
대부분의 바둑대회에서 스위스룰을 기준으로 사용한다고 해서 정리해 보게 됬습니다.
# 🎯 8명 스위스식 바둑대회 규칙과 대진표 완벽 이해하기
8명이 참가하는 바둑대회를 스위스식 룰로 운영할 때, 과연 우승, 준우승, 3위는 어떻게 정해질까요?
3번째 경기를 하고나니 순위 밖의 친구는 먼저 집으로 갔습니다.📚
한번 알아볼께요.
---
## 📌 스위스식 대회 기본 이해
- 참가자 전원이 매 라운드 경기를 치르며 탈락 없이 끝까지 진행됩니다.
- 비슷한 전적끼리 매 라운드 매칭되어 치열한 승부를 펼칩니다.
- 최종 승점 합산으로 순위를 결정합니다.
- 승점은 일반적으로 승리 1점, 무승부 0.5점, 패배 0점입니다.
**🎯 핵심 포인트:** 최후까지 꾸준한 경기가 가능해 실력 순위가 자연스럽게 드러납니다!
---
## 📌 8명 스위스식 대회 세부 운영 방법
✅ **라운드 수**: 총 3라운드로 충분
✅ **매칭 방식**: 전적이 비슷한 참가자끼리 대결
✅ **우승-준우승-3위 결정**: 승점 우선, 동점자는 추가 규칙 적용
### 🏆 동점자 처리 규칙
1. 상대 전적 합산 점수 (Buchholz)
2. 승자승 (동점자 간 직접 대결 결과)
3. 필요 시 단판 플레이오프 추가
---
## 📌 실전 대진표 예시 (8명 기준)
참가자: A, B, C, D, E, F, G, H
### 1라운드 (랜덤 매칭)
- A vs B → A 승
- C vs D → C 승
- E vs F → E 승
- G vs H → G 승
### 2라운드 (1승끼리 매칭)
- A vs C → A 승
- E vs G → E 승
- B vs D → B 승
- F vs H → F 승
### 3라운드 (2승끼리 매칭)
- A vs E → A 승
- C vs B → C 승
- G vs F → G 승
- D vs H → D 승
## 📌 최종 승점 정리
| 참가자 | 승/패 | 승점 |
|:------:|:-----:|:----:|
| A | 3승 0패 | 3점 |
| E | 2승 1패 | 2점 |
| C | 2승 1패 | 2점 |
| G | 2승 1패 | 2점 |
| B | 1승 2패 | 1점 |
| F | 1승 2패 | 1점 |
| D | 1승 2패 | 1점 |
| H | 0승 3패 | 0점 |
---
## 📌 최종 순위 결정
- **1위 (우승)**: A (3승)
- **2위 (준우승)**: E (부가점수 최고)
- **3위**: C (부가점수 두 번째)
※ E, C, G는 모두 2승1패였지만, 상대 전적을 비교해 순위를 정했습니다.
---
## 📌 한눈에 보는 요약
✅ 8명 스위스식은 3라운드로 충분
✅ 승점 최다 → 부가점수 비교 → 승자승 순으로 순위 결정
✅ 순위가 애매할 경우 단판전 가능
---
## 📌 자주 묻는 질문 (FAQ)
### 1. 스위스식에서 무승부가 나올 수 있나요?
👉 네, 무승부 규정이 있다면 가능합니다. 다만 보통 바둑은 무승부가 드뭅니다.
### 2. 스위스식은 탈락자가 있나요?
👉 없습니다! 전원 끝까지 경기합니다.
### 3. 8명이면 꼭 3라운드만 하나요?
👉 3라운드가 기본이지만, 운영자 재량으로 4라운드까지 할 수도 있습니다.
### 4. 동점일 때는 무조건 단판 승부 하나요?
👉 아닙니다. 부가점수 계산 후 단판은 최후 수단입니다.
### 5. 스위스식은 왜 인기가 많나요?
👉 실력에 맞게 매 라운드 치열한 경기가 이어져 재미와 공정성을 모두 잡기 때문입니다!
---